본문 바로가기
후기 모음

[EBS] 너무나도 다른 남 과 여

by Estrella He'e 2013. 3. 4.
728x90






아주 흥미로운 주제이다. 인간이 평생을 살아가면서 반드시 한 번쯤은 꼭, 그리고 아마도 평생의 아주 많은 시간을 쏟는 주제, 바로 남과 여, 그들의 사랑에 대한 주제로 이 프로그램은 구성되어있다. 하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이 프로그램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사랑을 다루었다기 보다는 그저 남성과 여성의 물리적 차이에 대해 다루었다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아니, 오히려 전자의 관점으로 보면 위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서 사랑은 인간의 동물적(생물학적) 특성으로 설명 할 때가 아니라, 인간 사회의 관계 내에서의 발현적 속성으로 설명할 때 더 많은 설명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사랑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기회에 더욱 자세히 나누어 보는 것으로 하고, 우선 재미있게 보시길, 아주 재미있는 다큐이다. 아래는 영상 속에서 흥미로웠던 점을 요약해 놓은 것.

 

 

실험의 재밌는 결과들

 

배란기가 되면 여성은 본인도 모르게 노출의 강도가 높아지고 걸음걸이 또한-남성에게 매력적인 방향으로-변화하였다.

남성은 여성의 외모에, 여성은 남성의 목소리에 매력을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

사람들은 DNA구조가 같은 사람을 냄새로도 쉽게 알아내었다.

초면일 경우,

-       남성은 스킨십으로 호감이 증가하는 반면

-       여성은 스킨십으로 호감이 생기지 않았고 오히려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

연애를 하지 않은 남성들은 매력적인 여성이 눈앞에 나타나면 끊임없이 시선을 보내며 의식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연애를 한창 하고 있던 남성은 거의 의식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남성들은 상황을 표현하고 인식하는 것에 편안한 경향을 보인 반면, 여성들은 감정을 표현하고 인식하는 것에 편안한 경향을 보인다.

남성들은 성적자극(신체적자극)을 느낄 때 시각자극(후두엽)이 주로 반응하는 반면, 여성은 기억과감정(변형계)가 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의 구조에 있어서 남성은 객관적 사실을 중심으로 하는 반면, 여성은 감정을 중심으로 하는 모습을 보인다. 뇌구조에 있어서 남성은 기억과 감정을 담당하는 부분이 분리 되어있지만, 여성은 일치 되어 있다.

 

남녀는 사랑을 하게 되면 동일인물이 다른 사람으로 보인다. ,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된다.(Pink Lense Effect)

남성은 조금의 호의로도 자신을 좋아한다고 착각한다.(긍정오류)

 

 

 

 

부부생활은 길고 긴 대화와도 같은 것이다” – 니체




728x90

댓글